신춘문예 시

제비꽃 향기/ 김은아

풍경소리(양동진) 2011. 11. 22. 11:43

제비꽃 향기

                                         김 은 아



생선뼈만 남은 개 밥그릇에
개미가 아우성이다
시간이 지나자, 삶의 살을 뼈만 남긴 채
말라가는 빈 밥그릇에서
시간을 붙잡고 보시를 하는 중이다

한 때

거친 바다를 헤엄쳐
푸른 꿈을 키웠을 너
어쩌자고 사람들 입 속까지 들어와
피와 살이 되고 마침내 개 입에서
생을 마감하는 너에게서
제비꽃 향기가 난다

햇볕이 개 밥그릇을 헤집는데
생선뼈는 온 몸으로
마지막 숨을 고르고 있다

비워라, 그릇


               

 

 

                           뼈의 기원

 

                                          안 병 호

 

 

 

문득, 뼈가 시려오면

내 뼈의 아득한 시원을 찾아

눈과 바람의 길을 걸어 수백 년을 거슬러 올라간다

뼈대 있는 집안의 자손이라는 것이

대체로 나의 문명이지만

그것은 비석에 판각되거나 정의되어진 것만이 아닌

단단한 그 무엇이 내 속을 지탱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장과 말 속에도 뼈가 있다하고

문중의 아재 한 분은

바람조차 투명한 뼈를 지니고 있다하므로

뼈는 삼라만상의 근원이다

모든 족속은 그 조상으로부터

몇 개의 맑고 흰 뼈를 물려받아 사는 동안

또 한 생이 고요히 마감되는 것이다

 

“뼈가 시릴 적엔 몇 모금 음복술로 덥히면서 오백년 전, 통정대부 할아버지를 만납니다. 삼십대에 무슨 사화로 졸(卒)하신 당신, 처자식은 관노가 되고 그 때 당신의 눈물은 눈발이 되어 사방 백리까지 날렸습니다. 그때부터 당신은 뼈마디마다 수수눈꽃을 피우면서 아버지와 저의 뼈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므로 눈발 속에도 맑은 뼈가 있음을 저는 믿습니다. 아버지가 졸(卒)하시던 그 때처럼”

 

아버지는 신발공장 공원에서 출발하여

생의 마지막 즈음 공사판 반장직에 올랐는데

젊은 나이에 병으로 졸(卒)하셨다

그 때 아버지는 뼈만 남은 문양으로

어린 내 손을 꼭 잡은 채, 흐린 물기를 보였는데

물기는 뼈를 타고 흐르다 서서히 결빙되고 있었다

어린 나는 앙상한 뼈의 모습이

너무 무섭고도 생경해 입관 하던 날조차

차거운 뼈를 따습게 데우지 못했다

그 날에도 먼 곳에서부터 눈발이 날려 왔고

 

오래지 않아 강아지처럼 여린뼈를 가진

내 아이가 세상에 나왔다

 

“아버지, 오늘 밤 수북이 눈이 내립니다. 눈송이 송이마다엔 당신의 눈물이 담겨있다는 것을 잘 압니다. 북편에서 날리는 눈발에는 종가에 계자로 와 당신 집안은 절손 된 9대조 조부님의 눈물도 보입니다. 저와 아이는 오늘 같은 밤이면 뼈를 살포시 맞대고 세상을 꿈꿉니다. 그래서 눈 오시는 밤은 참으로 마음 따습습니다.”

 

뼈가 잘 맞물려서 사계절을 보냈다

펼쳐진 시간 속에서

나의 뼈는 좀 더 유연해지고

아이의 뼈는 좀 더 옹골차졌다

몸속의 뼈들을 가지런히 정돈하여

순하게 낮추는 오늘,

뼈마다 하얀 풀꽃이 피어난다

 

 

 

향불을 피우는데 음력 시월 을해(乙亥)

이른 눈이 축문과 함께 투명하게 날린다

 

기서유역氣序流易 

상로기강霜露旣降 

첨소봉영瞻掃封塋 

불승감모不勝感慕 

근이謹以 

청작서수淸酌庶羞 

지천세사祗薦歲事 상尙,

향饗 

 

“당신들께서는 하얗게 뿌려지는 눈으로 혹은 투명한 축문의 곡조로 살아오십니다. 맑은 눈발 속 나폴 나폴 떠다니는 어린 것이 또 다른 뼈의 기원임을 깨닫고 있습니다. 생이 다하는 날까지 뼈를 추스르며 어린 뼈를 돌보려합니다. 아이를 가만히 껴안아봅니다.”



                   

                  문탠로드를 빠져나오며 - 국제신문

 

                                                            박 진 규

 

 

달이 저 많은 사스레피나무 가는 가지마다

마른 솔잎들을 촘촘히 걸어놓았다 달빛인 양

지난 밤 바람에 우수수 쏟아진 그리움들

산책자들은 젖은 내면을 한 장씩 달빛에 태우며

만조처럼 차오른 심연으로 걸어들어간다

그러면 이곳이 너무 단조가락이어서 탈이라는 듯

동해남부선 기차가 한바탕 지나간다

누가 알았으랴, 그때마다 묵정밭의 무들이

허연 목을 내밀고 실뿌리로 흙을 움켜쥐었다는 것을

해국(海菊)은 왜 가파른 해변 언덕에만 다닥다닥 피었는지

아찔한 각도에서 빚어지는 어떤 황홀을 막 지나온 듯

연보라색 꽃잎들은 성한 것이 없다

강풍주의보가 내려진 청사포 절벽을 떨며 기어갈 때

아슬아슬한 정착지를 떠나지 못한 무화과나무

잎을 몽땅 떨어뜨린 채 마지막 열매를 붙잡고 있다

그렇게 지쳐 다시 꽃 피는 것일까

누구나 문탠로드를 미끄덩하고 빠져나와 그믐처럼 시작한다

 

 *문탠로드(Moontan Road)-대한팔경의 하나인 해운대 달맞이언덕에서

달빛의 기운을 받으며 산책을 즐길 수 있도록 조성된 2.2㎞의 산책로

 


                      


                      풀터가이스트

 

                                                     성 은 주

 

 

하늘은 별을 출산해 놓고 천, 천, 히 잠드네

둥근 시간을 돌아 나에게 손님이 찾아왔어 동구나무처럼 서 있다가 숨 찾아 우주를 떠돌던 시선은 나를 더듬기 시작하네 씽끗, 웃다 달아나 종이 인형과 가볍게 탭댄스를 추지

그들은 의자며 침대 매트리스를 옮기고 가끔, 열쇠를 집어삼켜 버리지 그럴 때마다 나는 침대 밑에서 울곤 해 스스로 문이 열리거나 노크 소리가 들릴 때 화장실 문은 물큰물큰 삐걱대며 겁을 주기도 해 과대망상은 공중으로 나를 번쩍 들어 올리지 끊임없이 눈앞에서 주변이 사라졌다 나타나고 조였다 풀어져

골치 아픈 그들의 소행에 시달리다 못해 어느 날, 광대를 찾아갔지 광대는 자신이 두꺼운 화장에 사육당하고 있다며 웃어야 할 시간에 울고 있었어

천장을 훑어 오르기 위해 어둠 속에서 그들은 그림자를 흔들고 있어

자연스럽게 때론 엉성하게

그러다 접시가 입을 쩌억 벌렸어

누워있던 골목들 일제히 제 넋을 출렁였지

붙어있던 그들은 홀가분하게 나를 떠났어

온갖 소동 부리고 떠난 자리,

무성한 음모만 시끄럽게 남아있네


* Poltergeist: 불안정하게 소란을 피우는 영(靈)



  산부인과 41병동에

 

                                                                                                                                                                           김현숙

 

 

목숨 걸고 터를 사수하려는 사람들과 강제 철거로 문책당하지 않으려는 사람들 사이에 불길이 솟았다 강대병원 41병동 입원실에 누운 그녀의 마음도 이미 화염에 휩싸였다 산부인과 의사가 가랑이 사이 좁고 음습하게 숨어있는 그를 찾아내 명명한 것은 D25, 20년 동안 빈방을 먹고 몸집을 키워 집채로 들어내야 한다고 했다 병실은 침묵의 섬, 형광 수족관 유리벽에 갇힌 여자는 영락없이 부레를 잃고 바닥까지 가라앉은 넙치가 되었다 TV는 밤낮없이 용산 강제철거 참사를 알리고 별보다 많은 눈물과 촛불을 쏟아내고 있었다 강제 철거는 내 깊은 동굴 속에서도 일어났다 마취 4시간 만에 피 주머니에 고인 D25는 몇 날 며칠 창자를 지나 억울하다고 빈터에서 울었다 화염에 휩싸여 죽은 용산참사 가족들이 TV 화면 속에서 실신했다 불을 낸 책임이 넙치라고 했다가 꽁치라고 하고 이해관계에 따라 해석이 달랐다. 그녀의 몸이 점차 수족관이 되었다 밤마다 몸을 떠난 부레가 허공을 날고 납작하게 엎딘 시간들을 물고 사라지는 갈치 떼가 보였다 스산한 야광을 구경하는 관객은 네모난 아파트와 깜박이지 않는 붉은 십자가들뿐, 그런데 왜 십자가는 약자들의 빛이 되지 못할까 크레졸 안개가 어지러웠다 가끔 배를 움켜쥐고 흐느적거리는 사람들은 투명한 해파리 촉수에 찔린 손을 높이 쳐들었다 의사는 여성을 잃은 대신 생명을 얻었으니 다행이라고 했다 D25를 죽이고 그녀가 산 수족관을 빨리 벗어나고 싶었다 가장도 잃고 터도 뺏긴 그들은 무엇을 얻었을까? 신문이 말했다 그들에겐 죽을지언정 터를 지켜야 할 분명한 이유가 있을 것이라고… 별보다 많은 눈물과 촛불은 물대포로도 꺼지지 않는다 허공을 얻은 몸은 이미 바다가 되었을 테니.

             



 

 

 

 

 

 

'신춘문예 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무는 , 집/ 여성민   (0) 2012.01.06
우체통 / 김미경 (동시)  (0) 2011.11.24
오늘의 운세 / 권민경   (0) 2011.11.22
덩굴장미 / 김영삼   (0) 2011.11.22
자전거, 바퀴에 관한   (0) 2011.11.21